본문 바로가기
함석헌평화연구소/김대식 박사 강좌

도에 뜻을 두며, 덕에 근거하며, 인에 의하며, 예에서 노닌다

by anarchopists 2019. 11. 22.
* 함석헌평화포럼 블로그에서 [2012/03/02 06:30]에 발행한 글입니다.

[함석헌의 눈으로 읽는 동양철학]


『論語』, <述而篇>


제1장 子曰述而不作하며 信而好古를 竊比於我老彭하노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계승은 하되 창작하지 아니하며 신실하면서 옛것을 좋아하는 것을 가만히 우리 노팽에 비기고자 한다.)
설명: 예악은 덕과 지위를 겸비해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공자는 성인의 덕은 있으면서도 감히 성인으로 자처하지 않았고, 천자의 자리에도 있지 않았으므로, “선현의 제도를 전하되 창작하지 아니한다.”고 말한 것이다.


제2장 子曰黙而識之하며 學而不厭하며 誨人不倦하니 何有於我哉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묵묵하게 알고(識: 기억하고), 배우고서 싫증내지 아니하며, 남에게 깨우치기를 게을리 하지 아니하니 (이 외에) 나에게 무엇이(무슨 어려움이) 있겠느냐?”)
설명: 마음을 가다듬고 잡생각을 하지 않으며 경건한 상태를 유지하여 구별하는 의식이 일어나지 않게 되면, 저절로 남과 내가 하나가 되는 세계로 몰입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사는 것이 참된 삶이며 고귀한 삶인지를 분별하고 따져서 확실히 알아야만 그러한 삶을 터득하기 위하여 매진할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이 학문이라는 것을 알면, 학문을 연마하는 데 게을리 함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학이불염은 지혜로운 일에 속한다. 黙坐를 하고 학문을 하여 참으로 가치 있는 삶을 터득한 결과, 그것은 남과 내가 하나인 삶을 사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아 남을 나처럼 사랑하게 되면, 다른 사람도 참된 삶을 살 수 있도록 깨우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게 될 것이다.


제6장 子曰志於道하며 據於德하며 依於仁하며 游於藝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에 뜻을 두며, 덕에 근거하며(據: 꼭 지키는 것), 인에 의하며, 예에서 노닌다.)
설명: 학문의 과정은 처음에 예를 배우는 데서 시작하는데, 예의 형식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도를 알아야 하고, 도를 확실히 알고 실천할 수 있기 위해서는 덕을 밝혀야 하며, 덕을 밝히는 근본적인 방법은 인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예의 실천을 통하여 남과 융화되는 즐거움을 표현한 것이 예(군자나 선비는 육예-禮, 樂, 射, 書, 御, 數-를 잘 배우고 익혀야 한다)이다.


제7장 子曰自行束脩以上은 吾未嘗無誨焉이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속수(육포 열 줄을 묶은 다발)를 행한 자에서부터 그 이상은 내 일찍이 가르쳐 주지 않은 적이 없었다.)
설명: 공자는 속수 이상의 예물을 가지고 오는 사람에게는 모두 제자로 받아들여서 가르쳤다. 돈을 벌기 위한 교육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것은 우선 예에서 시작되는 것이므로, 속수이상을 요구하는 것은 제자의 예를 지키도록 한 것이다.


제8장 子曰不憤이어든 不啓하며 不悱어든 擧一隅에 不以三隅反則不復야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분발하지 아니하면 열어 주지 아니하며, 애태우지 아니하면 말해 주지 아니하며, 한 모퉁이(구석)를 들 때 세 모퉁이(구석)로써 돌아오지 아니하면[반응하지 않으면] 다시 일러 주지[더는 가르치지] 아니한다.”)
설명: 학문은 스스로 분발하여 의욕을 보이지 않는 사람들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효과가 없다. 그러므로 분발하여 의욕을 보이는 제자들에게 그 다음 단계를 열어서 보여 주며, 알고 싶어서 애태우는 제자에게 해답을 가르쳐 주며, 한 모퉁이만 건드려 주면 나머지 세 모퉁이를 이해할 정도로 무르익지 않으면 완전히 소화하여 무르익을 때까지 다시 가르쳐 주지 아니한다.


제15장 子曰飯疏食飮水하고 曲肱而枕之라도 樂亦在其中矣니 不義而富且貴는 於我如浮雲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거친 밥(疏食)을 먹고 맹물을 마시며 팔을 굽혀 베고 누워도 즐거움은 또한 그 가운데 있으니, 의롭지 않으면서 부하고 귀한 것은 나에게 있어서는 뜬구름과 같도다.”)
설명: 참다운 삶은 육체를 주체로 하는 삶에서 벗어나 본마음에 따라서 사는 삶인 것이니, 그것은 일체의 집착에서 벗어나며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극복한 절대자유의 세계이다. 갈등과 고통이 사라지고 조화로움과 즐거움만이 존재한다. 본마음에 다라서 산 결과 저절로 얻어진 부귀는 좋은 것이지만, 육체적 욕구를 충족할 목적으로 얻은 부귀는 의미가 없다.


제16장 子曰加我數年하여 五十以學易이면 可以無大過矣리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몇 해를 더 살아서 50세에 주역을 배우면 큰 허물은 없을 것이다.)
설명: 공자에게 몇 년의 시간을 더 보태주는 주체가 天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 문장에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주자는 加를 假로 오십을 卒로 보아 ‘70 가까이 된 공자가 몇 년 간 더 시간을 가지고 마침내 주역을 배우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로 해석했고, 何晏은 ‘몇 년 더 공부하여 50세 때 주역을 배우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로 해석했다.


제17장 子所雅言은 詩書執禮니 皆雅言也러시다
(공자께서 평소 늘 말씀하시는 것은 시경과 서경과 예를 실천하는 것이었으니 모두 늘 말씀하셨다.)
설명: 공자께서 평소에 늘 가르친 내용은 시경의 내용과 서경의 내용 그리고 예에 관한 것이었는데, 시경과 서경의 내용은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지만 예를 실제로 시범을 해 보여야 하는 것이므로 ‘집례’로 표현하였다. 예를 완전히 터득하여 실천할 수 있게 된 후에라야 비로소 도나 덕에 관한 것을 가르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대개 시경과 서경의 내용과 예를 실천하는 방법을 주로 가르친 것이다. 雅를 正의 뜻으로 보아 ‘시, 서, 예를 가르칠 때는 일상적인 용어를 쓰지 않고 전통적인 용어를 쓴다’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제18장 葉公이 問孔子於子路어늘 子路不對한대 子曰女奚不曰其爲人也發憤忘食하고 樂以忘憂하여 不知老之將至云爾오
(섭공은 자로에게 공자에 대해서 물었는데 자로는 대답하지 않았다.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너는 어찌 ‘그 사람됨은 분발하여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워하여 걱정거리를 잊어버리며, 늙음이 곧 다가오는 것(老之將至)도 알지 못한다고 할 뿐이다.’라고 말하지 않았는가?”)
설명: 분발하여 밥 먹는 것도 잊어버린다는 것은 학문에 열중하는 것을 말하며, 즐거워하여 걱정거리를 잊어버린다는 말은 학문하는 즐거움을 표현한 것이다. 학문을 통하여 즐거움을 터득하면 육체를 주체로 하는 삶에서 벗어나므로 육체가 늙고 죽음에 다가가도 슬프지 않을 수 있다.


제19장 子曰我非生而知之者라 好古敏以求之者也로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나면서부터 알았던 사람이 아니다. 옛것을 좋아하여 부지런히 그것을 구한 사람이다.”)
설명: 제자들을 학문적으로 분발케 하기 위한 것이었다. 제자들은 공자의 학문을 따라 갈 수 없다고 생각하고 포기하지 않도록 말이다. 그래서 격려하기 위해서 옛것을 열심히 배워 현재와 미래를 알아가며 포기하지 말기를 종용했을 것이다.


제20장 子不語怪力亂神이러시다
(공자께서는 괴이한 것, 힘센 것, 어지러운 것, (귀)신에 관한 것을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설명: 공자 사상의 핵심은 합리적인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仁政과 德治였다. 그러므로 괴이한 것을 말하는 것은 호기심을 자극하여 주목을 받으려는 것이고, 힘센 것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육체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것이며, 패란을 말하는 것은 남의 잘못을 밝히려는 이기심의 발로이며, 신에 대해서 함부로 말하는 것은 혹세무민하게 되는 것이다.


제22장 子曰天生德於予시니 桓魋其如予何리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이 나에게 덕을 주셨으니 환퇴가 나를 어떻게 하겠는가?”)
설명: 공자가 조나라를 떠나 송나라에 갔을 때 제자들과 큰 나무 밑에서 예를 익히고 있었는데, 송나라의 사마환퇴가 공자를 죽이려 하여 그 나무를 뽑았으므로 공자가 거기를 떠났다. 그 때 빨리 도망가라고 재촉하는 제자들에게 한 말이다. 공자의 나이 60세 때의 일이다. 덕은 본 마음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며 하늘의 뜻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니, 이는 태어날 때 모두 타고난 것이지만 사람들은 자라면서 차츰 상실하고 만 것이다. 학문을 통하여 본 마음이 무엇인지, 하늘의 뜻이 어떤 것인지 자각하게 되면 덕은 회복된다. 하늘의 뜻은 천지만물을 움직이는 원동력이므로 아무도 이를 거역할 수 없듯이, 덕을 회복하여 하늘의 뜻을 실천하는 공자의 삶도 거역할 수 없는 것이다.


제24장 子以四敎하시니 文行忠信이러시다
(공자께서는 네 가지로써 가르치셨으니, 문(遺文; 文章)과 행실과 충(성실한 마음)과 신의였다.)
설명: 공자는 옛 서적을 통하여 문학, 역사, 정치 등에 관해서 두루 가르치고, 다음에 예를 실행하는 것을 가르치며, 다음으로 예의 본질인 오륜을 가르치는 순으로 진행하였을 것이다. 충은 오륜을 행하는 마음의 상태인 ‘진실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26장 子는 釣而不綱하시며 弋不射宿이러시다
(공자께서는 낚시질을 하시되 그물질을 하지 않으시며, 주살질을 하시되 잠자는 새를 쏘아 맞히지 않으셨다.)
설명: 남을 나처럼 사랑하는 마음이 확산되면 만물에 대해서도 나처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물고기를 잡을 때는 낚시로써 하지 그물을 쳐서 전부 잡는 방법을 쓰지 않으며, 주살로 새를 잡을 때에는 잠자는 새는 잡지 아니한다. 미안하기 때문이다.


제27장 子曰蓋有不知而作之者는 我無是也로라 多聞하여 擇其善者而從之하며 多見而識之하니 知之次也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마도 알지 아니하고서도 실천하는 것이 있지만 우리들에게는 이러한 것이 없다. 많이 듣고서 그 중에서 선한 것을 골라서 따르며, 많이 보아서 아는(기억하는) 것이니 지혜로움의 두 번째 단계이다.”)
설명: 최고의 지혜는 성인의 지혜인데, 그것은 따져서 알고 난 후에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무심히 행동할 수 있는 것이다(不知而作之者). 그러나 성인이 되지 못한 우리들은(我) 그렇게 할 수는 없다. 많이 듣고서 그 중에서 좋은 것을 선택하여 그것을 실천해야 하며 많은 보아서 알아야 하는 것이니, 이는 지혜로움의 두 번째 단계이다.




*위 이미지는 인터넷 daum에서 퍼온 것임.


김대식 선생님은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B.A.)와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를 졸업(M.A.)한 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강사로 있으면서, 대구가톨릭대학교 인간과 영성연구소 연구원,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된 학문적인 관심사는 '환경과 영성', '철학적 인간학과 종교', 그리고 '종교간 대화'로서 이를 풀어가기 위해 종교학을 비롯하여 철학, 신학, 정신분석학 등의 학제간 연구를 통한 비판적 사유와 실천을 펼치려고 노력한다.

■저서로는 《생태영성의 이해》, 《중생: 생명의 빛으로 나아가라》, 《아름다움이 우리를 구원할까: 영성과 신학적 미학》, 《환경문제와 그리스도교 영성》, 《함석헌의 종교인식과 생태철학》, 《길을 묻다, 간디와 함석헌》(공저), 《지중해학성서해석방법이란 무엇인가》(공저), 《종교근본주의: 비판과 대안》(공저), 《생각과 실천》(공저),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함석헌의 철학과 종교세계》, 《함석헌과 종교문화》, 《식탁의 영성》(공저), 《영성가와 함께 느리게 살기》, 《함석헌의 생철학적 징후들》 등이 있다.
/함석헌평화포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