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석헌평화연구소/서평, 독후감

<생태영성의 이해>

by anarchopists 2019. 10. 31.
* 함석헌평화포럼 블로그에서 [2014/03/29 06:00]에 발행한 글입니다.


<생태영성의 이해>





지은이 : 김대식
출판사 : 대장간
발행일 : 2014년 3월 25일
ISBN : 978-89-7071-320-5
시중가격 : 10,000원
페이지수 : 240쪽
판형 : 신국판
배본예정일 : 2014년 3월 27일 이후
분류 : 기독교영성 | 생태



[책소개]
...........
그리스도교적 입장에서 보자면 환경문제의 해결은 결국 인간 자신의인간됨(being human)에 있다. 즉 그리스도를 통한 인간 자신의 내면적 성찰은 인간이 자연 세계와 벗하지 않고서는 살아갈 수 없음을 깨닫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난(至難)한 자기수련(Askese)이 필요한 것이다.(imitatioChristi) 더불어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성서와 신앙적 전통에 맞닿아 있었던 생태적 삶(사유)을 현재적 삶과 미래 세대를 위한 생태적인 재해석이 요구된다.
..........
자연과 삶의 세계는 인간의 끝 모를 욕망으로 유린되고, 언어는 상실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글쓴이는 자연환경과 인간 그리고 절대자와의 관계를 아우르는 그리스도교적 성찰에서 출발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한다면 이 관계적 사유가 잘못 정초되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인간 삶의 근간인 땅이 황폐하고 인간 자신에게는 삶의 위기를 가져왔다고 보는 것이다. 관계적 사유의 종언은 자연의 종말을 가져오며, 급기야 언어의 종말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자연의 종말은 인간의 전통과 문명의 종말을 뜻한다고도 볼 수 있다. 언어는 대지大( 地에) 서 배태되기 때문이다. 모름지기 이것은 인간이 대지와 상호의존적인 존재로 살아가야 하는 유한적 존재임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





[저자]


김대식은 1967년 생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했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에서 전헌호 신부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지금은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원광디지털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다. 주된 학문적 관심사는 ‘환경과 영성’, ‘철학적 인간학과 종교’, 그리고 종교간 대화로서 이를 풀어가고자 종교학을 비롯하여 철학, 신학, 정신분석학 등의 학제간 연구를 통한 비판적 사유와 정신을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그리스도교 영성과 신학적미학, 생태영성의 이해, 환경문제와 그리스도교 영성, 함석헌의 종교인식과 생태철학, 형성-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함석헌의 철학과 종교세계, 함석헌과 종교문화, 길을 묻다-간디와 함석헌(공저), 지중해학 성서해석방법이란 무엇인가(공저), 종교근본주의-비판과 대안(공저), 생각과 실천(공저), 식탁의 영성(공저) 등이 있다.


[차례]

말머리
1장·환경 위기와 인간학적 물음
1.1. 칸트의 인간학에서 두 번째 물음과 도덕적 인간
1.2. 윤리적 행위자인 인간
1.3. 인간의 선험적 이해 -‘생태적 양심’을 지닌 인간
1.4. 생태적 인간을 위한 종교적 성찰

2장·이원론의 극복을 위한 생태학적 신론의 재구성
2.1. 제1유형 : 초월과 배타적 신론K. Barth
2.2. 제2유형 : 참여와 생성적 신론W. Pannenberg
2.3. 제3유형 : 예수의 하나님 나라 지향八木誠一
2.4. 제4유형 : 종교현상학적 방법을 통한 생태종교학의 모색M. Eliade

3장·현대 사회의 소비문제와 성 프란치스코의 생태영성
3.1. 성 프란치스코의 청빈의 영성
3.2. 성 프란치스코와 생명교감의 영성
3.3. 소비의 해체와 청빈의 영성
3.4. 성 프란치스코와 소비 아스케제
3.5. 성 프란치스코의 자연해방

4장·환경문제에 대한 종교적 생태 담론과 생태학적 미학의 요청
4.1. 종교적 생태학이기 위한 미학적 인식
4.2. 성서를 통해 본 생태학적 성찰
4.3. 종교적 생태윤리를 위한 생태학적 미학

5장·인간의 욕망과 고통에 대한 종교·생태학적 인식
5.1. 고통에 대한 종교적 이해
5.2. 고통의 원인으로서의 소외
5.3. 인간의 욕망으로 인한 고통
5.4. 하나님의 선물인 대지의 고통
5.5. 고통의 인식론적 의미와 극복 방안

6장· 예수 사건과 세계 긍정 :환경위기시대의 생태학적 그리스도론과 생태학적 시간관
6.1. 그리스도의 육화에 대한 생태신학적 이해
6.1.1. 포스트모더니즘과 그리스도론
6.1.2. 로고스 찬가의 생태신학적 독해
6.1.3. 자연을 배려하는 영성
6.2. 십자가 사건과 우주적 구원
6.2.1. 십자가 사건과 피조세계의 구원
6.2.2. 예수의 자기 비움을 통한 우주적 구원
6.3. 자연과 인간의 현실 극복 - 생태적 삶을 위한 시간 의식
6.3.1. 시간의 아포리아
6.3.2.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시간 개념
6.3.3. 생태적 위기와 시간 - 생태적 시간

7장·로마노 과르디니R. Guardini의 생태철학
7.1. 기계론적 세계관 비판
7.2. 정신의 몰락과 무의식의 요청
7.3. 미래에 대한 조망과 세계인식 비판
7.4. 기계와 인간, 그리고 환경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향설정

8장·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인식 비판과 종교생태학의 가능성
8.1. 역사의 자리topos, 테라terra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
8.2. 세계 화해를 위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적 에티카
8.3. 아우구스티누스의 종교 생태학적 지평과 호모 렐리기오수스
8.4.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철학에 대한 해석학적 반성의 요청

9장·종교적 생태담론의 현주소와 그 과제
9.1. 국외 생태신학의 동향들
9.2. 국내 생태신학의 동향들

10장·생태적 존재론과 비판적 사유
10.1. 포스트 그노시스, 그 아이러니, 그리고 적색병리적 주이상스
10.2. 녹색의 아방가르드와 타자인 프로메테우스
10.3. 녹색세계를 꿈꾸는 정치적 존재와 언어들
10.4. 녹색민주주의와 자연 본유적 삶
10.5. 녹색실존의 본질과 기계문명의 신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