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석헌평화포럼 블로그에서 [2009/01/30 09:30]에 발행한 글입니다.
후 원 : 주한 인도대사관
시 간 : 2009년 2월 3일(화요일) 오후 3시~6시
장 소 : 김대중도서관 대강당(서울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평화재단 내)
☐ 모시는 말씀
20세기를 대표하는 위인으로 간디(1869-1948)를, 한국의 사상가로 함석헌(1901-1989)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상아탑 지식인이 아닌 지행합일을 실천하는 시대양심이었습니다.
이들의 메시지는 인도와 한국을 넘어 세계로 울릴 만한 보편성을 지닙니다. 21세기의 세계는 아직도 많은 갈등과 싸움으로 조용한 날이 없습니다. 두 위인이 공유하는 비폭력평화 사상, 다원주의적 가치관 등은 이 혼란한 세계를 바로잡고 치유하는 원리가 됩니다.
며칠 상관인 간디(1월30일/60주기)와 함석헌(2월4일/20주기)의 서거일을 당하여 우리는 이 분들의 사상을 되새겨보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참여하여 깊은 생각을 나누시기를 바랍니다.
이 마당은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화조성에 헌신한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받들어 이 땅의 평화를 이루는 데 돕고자 결성한 「함석헌평화포럼」의 첫 번째 행사입니다. 앞으로 이 포럼에 큰 관심과 후원을 보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함석헌평화포럼 대표
☐ 행사 내용 (전체 사회 : 황보윤식/인하대)
제1부 : 회고의 시간 (오후 3:00~3:50)
* 함석헌과 간디를 회상하는 침묵 (1분)
* 함석헌선생의 생전 모습 상영 (필름제공/장영근님)
* 마하트마간디의 생전 모습 상영 (필름제공/인도대사관)
* 추모행사 기념사 : 주한 인도대사관
* 씨알농장 시절에 함석헌선생의 하루/정해숙 (전 구화고등공민학교 교장)
제2부 : 우리는 왜 지금 간디와 함석헌을 말해야 하는가 (오후 4:00~6:00)
* 간디와 함석헌의 유산: 이상과 현실 (김영호/씨알사상연구원 원장ㆍ인하대명예교수)
* 함석헌 말법의 독특성 (석경징/서울대명예교수)
* 독재와 싸운 함석헌의 저항사상 (김삼웅/전 독립기념관관장)
* 함석헌을 왜 공교육혁명가로 보는가? (이치석/『씨알의 소리』 편집위원)
* 간디는 의뢰인을 어떻게 변호했는가? (박종강/변호사)
제3부 : 자유토론 시간 (오후 6:00~6:30)
-이후 식사-
☐ 함석헌평화포럼 소개
- 함석헌평화포럼은 함석헌평화사상을 기리고 연구하는 개별적이고 자유로운
함석헌연구자들의 비조직적인 작은 모임입니다.
- 함석헌평화포럼에는 누구나 회원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회원의 회비는 없습니다.
- 현재 인터넷언론 <오마이뉴스> 블로그에는 종교, 철학, 생태, 역사, 교육, 문학, 민족통일 등에 대한 함석헌평화포럼의 기획물이 매주 6회씩 연재 중에 있으며 일요일은 이 시대의 양심인 씨알들의 소리로 '일요시론'을 올리고 있습니다.
함석헌서거 20주기,
간디서거 61주기 추모 한마당을 엷니다.
주 최 : 함석헌평화포럼
간디서거 61주기 추모 한마당을 엷니다.
후 원 : 주한 인도대사관
시 간 : 2009년 2월 3일(화요일) 오후 3시~6시
장 소 : 김대중도서관 대강당(서울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평화재단 내)
☐ 모시는 말씀
20세기를 대표하는 위인으로 간디(1869-1948)를, 한국의 사상가로 함석헌(1901-1989)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상아탑 지식인이 아닌 지행합일을 실천하는 시대양심이었습니다.
이들의 메시지는 인도와 한국을 넘어 세계로 울릴 만한 보편성을 지닙니다. 21세기의 세계는 아직도 많은 갈등과 싸움으로 조용한 날이 없습니다. 두 위인이 공유하는 비폭력평화 사상, 다원주의적 가치관 등은 이 혼란한 세계를 바로잡고 치유하는 원리가 됩니다.
며칠 상관인 간디(1월30일/60주기)와 함석헌(2월4일/20주기)의 서거일을 당하여 우리는 이 분들의 사상을 되새겨보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참여하여 깊은 생각을 나누시기를 바랍니다.
이 마당은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평화조성에 헌신한 함석헌의 평화사상을 받들어 이 땅의 평화를 이루는 데 돕고자 결성한 「함석헌평화포럼」의 첫 번째 행사입니다. 앞으로 이 포럼에 큰 관심과 후원을 보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함석헌평화포럼 대표
☐ 행사 내용 (전체 사회 : 황보윤식/인하대)
제1부 : 회고의 시간 (오후 3:00~3:50)
* 함석헌과 간디를 회상하는 침묵 (1분)
* 함석헌선생의 생전 모습 상영 (필름제공/장영근님)
* 마하트마간디의 생전 모습 상영 (필름제공/인도대사관)
* 추모행사 기념사 : 주한 인도대사관
* 씨알농장 시절에 함석헌선생의 하루/정해숙 (전 구화고등공민학교 교장)
제2부 : 우리는 왜 지금 간디와 함석헌을 말해야 하는가 (오후 4:00~6:00)
* 간디와 함석헌의 유산: 이상과 현실 (김영호/씨알사상연구원 원장ㆍ인하대명예교수)
* 함석헌 말법의 독특성 (석경징/서울대명예교수)
* 독재와 싸운 함석헌의 저항사상 (김삼웅/전 독립기념관관장)
* 함석헌을 왜 공교육혁명가로 보는가? (이치석/『씨알의 소리』 편집위원)
* 간디는 의뢰인을 어떻게 변호했는가? (박종강/변호사)
제3부 : 자유토론 시간 (오후 6:00~6:30)
-이후 식사-
☐ 함석헌평화포럼 소개
- 함석헌평화포럼은 함석헌평화사상을 기리고 연구하는 개별적이고 자유로운
함석헌연구자들의 비조직적인 작은 모임입니다.
- 함석헌평화포럼에는 누구나 회원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회원의 회비는 없습니다.
- 현재 인터넷언론 <오마이뉴스> 블로그에는 종교, 철학, 생태, 역사, 교육, 문학, 민족통일 등에 대한 함석헌평화포럼의 기획물이 매주 6회씩 연재 중에 있으며 일요일은 이 시대의 양심인 씨알들의 소리로 '일요시론'을 올리고 있습니다.
함석헌평화포럼 운영자 삼가 드림
'함석헌평화연구소 > 함석헌, 평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강]함석헌 역사철학의 세 가지 원리 (0) | 2020.02.08 |
---|---|
[제4강]함석헌의 역사철학 - 생명의 원리 (0) | 2020.02.07 |
[김삼웅- 제1강] 함석헌의 야인전신 (0) | 2020.02.03 |
[김삼웅-제2강] 함석헌을 말한다 -들사람 (0) | 2020.02.03 |
[김상웅 제3강] 함석헌이 곧 엄자릉 김시습이 아니던가 (0) | 2020.02.03 |
댓글